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3.1 RFP (Request For Proposal) 이해하기

안녕하세요 Chase 입니다.

 

이번 주제는 RFP (Request For Proposal) 입니다. 한국말로는 제안요청서 라고도 합니다. 

 

먼저 RFP (제안요청서)는 발주자가 Project 수행에 있어서 필요한 부분을 작성하여 제안자가 Proposal (제안서)를 작성하는데 도움을 주는 문서 입니다. 

 

플랜트 산업에서는 Owner (발주자)가 모든 업무를 수행할 수 없는 경우, 이를 대체할 회사들을 찾기 위해 RFP를 작성합니다.

 

한국 뉴스에서 많은 대기업 건설사 들이 해외 플랜트 건설을 수주 했다는 소식을 많이 들어 보셨을 텐데, 이는 FEED 단계이후, 건설단계에서 Owner 회사가 RFP를 작성하고, 한국 건설사에서 Proposal 을 작성하여, EPC사로 선정 되었다는 말 입니다. 

 

보통 RFP의 작성은 목적에 따라서 작성되는 부분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제가 예시로 설명드릴 RFP는 바로 Pre-FEED의 RFP 입니다. 

 

Pre-FEED의 프로젝트 업무를 수행하기 위한 엔지니어링 회사에게 보내는 제안서를 예로 들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표지는, 다음과 같이 만들게 됩니다. 

RFP 표지

 

표지 같은 경우에, 1번 박스에는 회사의 로고 및 회사 이름을 넣게 됩니다. 그 아래에 RFP 를 명시하고, 무엇을 위한 RFP인지에 대한 간략한 제목과 발행월 및 년도를 넣습니다. 또한 이 RFP에 작성되는 정보는 보안이기 때문에 마지막에 Confidential Material 이라는 표기를 하게 됩니다. 

 

전체적인 문서가 보안 사항이므로, 목차부터는 말로써 설명 드리겠습니다. 

 

목차는 전체적으로 앞으로 적혀질 내용들에 대한 주제 및 제목 입니다. 

 

RPF에 주요하게 들어갈 내용으로는,

 

1. 프로젝트의 목적 및 배경 (Purpose and Background)

2. 프로젝트 설명 (Project Description)

3. 프로젝트의 작업 범위 (Scope of Work)

4. 제안서 요구 사항 (Proposal Requirements)

5. RFP 스케쥴 (RFP Schedule)

6. 질문 사항 (Enquiries)

7. 제안서 수정 (Proposal Modification)

8. 제안 요청서 수정 (RFP Modification)

9. 수락 및 취소 권한 (Acceptance & Authority to Cancel)

10. 발주처의 권한 (Rights of Owner)

11. 공모 (No Collusion)

12. 제안 비용 및 소유권 (Proposal Cost & Ownership)

13. 기밀 유지 (Confidentiality)

14. 제안 평가 (Proposal Evaluation)

15. 기타 (Miscellaneous)

 

회사에 따라 필요한 부분의 사항이 더 추가 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설명을 위해 부록이 추가 되는게 일반적입니다.

 

다음 포스팅 부터는 각 주제에 대하여 설명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