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6)
3.1 RFP (Request For Proposal) 이해하기 2 안녕하세요 Chase 입니다. 이전 포스팅에서 RFP에 대해 대략적으로 알아보았습니다. 이번에는 RFP의 주요 내용에 대한 부분을 좀 더 자세히 설명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이전 포스팅에서 보신바와 같이 RFP에 주요하게 들어가는 내용으로는, 1. 프로젝트의 목적 및 배경 (Purpose and Background) 2. 프로젝트 설명 (Project Description) 3. 프로젝트의 작업 범위 (Scope of Work) 4. 제안서 요구 사항 (Proposal Requirements) 5. RFP 스케쥴 (RFP Schedule) 6. 질문 사항 (Enquiries) 7. 제안서 수정 (Proposal Modification) 8. 제안 요청서 수정 (RFP Modification) 9. 수락 및..
3.1 RFP (Request For Proposal) 이해하기 안녕하세요 Chase 입니다. 이번 주제는 RFP (Request For Proposal) 입니다. 한국말로는 제안요청서 라고도 합니다. 먼저 RFP (제안요청서)는 발주자가 Project 수행에 있어서 필요한 부분을 작성하여 제안자가 Proposal (제안서)를 작성하는데 도움을 주는 문서 입니다. 플랜트 산업에서는 Owner (발주자)가 모든 업무를 수행할 수 없는 경우, 이를 대체할 회사들을 찾기 위해 RFP를 작성합니다. 한국 뉴스에서 많은 대기업 건설사 들이 해외 플랜트 건설을 수주 했다는 소식을 많이 들어 보셨을 텐데, 이는 FEED 단계이후, 건설단계에서 Owner 회사가 RFP를 작성하고, 한국 건설사에서 Proposal 을 작성하여, EPC사로 선정 되었다는 말 입니다. 보통 RFP의 작..
프로젝트 진행 단계 (Project Phases) - 3. Pre-FEED 안녕하세요 Chase 입니다. 이번에는 플랜트 프로젝트 진행 단계 세번째인 Pre-FEED 단계입니다 Pre-FEED는 Pre-Front End Engineering Design의 약자로 많이들 알고 계시는 FEED의 전단계로서, Pre-DBM (Pre-Design Basis Memorandum)이라고 하는 국가 및 회사들도 있습니다. Pre-FEED는 진행하는 회사도 있고 아닌 회사도 있다고 합니다. 그러나 이 단계를 따로 하지 않는다고 하면 후의 FEED 단계에서 Pre-FEED 단계에서 해야하는 부분들을 포함하여 진행 하여야 하기 때문에 FEED의 기간이 길어진다고 볼수 있습니다. Pre-FEED는 앞선 Conceptual Study 및 Feasibility Study 를 통해 기틀을 잡은 부분에 ..
프로젝트 진행 단계 (Project Phases) - 2. Conceptual Study & Feasibility Study 안녕하세요 Chase 입니다. 이번 포스트는 2. Conceptual Study & Feasibility Study 에 대한 내용입니다. Conceptual Study & Feasibility Study는 프로젝트의 전체적인 개요 (Project Initiation)가 끝난 후 진행합니다. 이 단계에서는 앞선 단계에서 설정한 부분들에 대해서 더 자세하게 세분화 하고 그것들이 앞으로 진행함에 있어서 가능한지에 대해서 전체적인 프로세스의 틀과 경제적인 부분의 타당성을 조사하는 단계라고 이해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먼저 프로세스에 대한 부분은 어떤 공정들을 사용하여 내가 원하는 제품을 만들어 낼지에 대해서 전반적으로 틀을 잡는 것을 얘기하고, 그 프로세스의 틀을 기반으로 만들어지는 서류들 에서 CAPEX (C..
프로젝트 진행 단계 (Project Phases) - 1. Initiation of Project 안녕하세요 Chase 입니다. 오늘은 프로젝트의 디테일한 업무들에 대한 지식 보다는, 그전에 필요한 전체적인 프로젝트의 흐름 및 진행 단계에 대해서 알아 보고자 합니다. 프로젝트의 진행 단계는 Initiation of Project → Conceptual Study / Feasibility Study → Pre-FEED → FEED (Front End Engineering Design) → Detailed Engineering → Procurement → Construction → Pre-Commissioning / Commissioning & Start-Up → Operation 의 단계로 구성됩니다. 1. Initiation of Project, 먼저 프로젝트를 구상 하는 단계 입니다. 프로젝트를 하..
Chase의 캐나다 생활 안녕하세요 Chase 입니다. 저는 현재 캐나다에 거주 하고 있으며, 회사에서 Process-Engineer로 일 하고 있습니다. 현재 블루 수소 및 블루 암모니아 (Blue Hydrogen & Blue Ammonia)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으며, 프로젝트의 진행과 그 안에서의 업무 및 정보 대해 공부하며 글을 작성할 예정입니다. 현재 프로젝트의 Owner 회사 로서, 한국 공정 엔지니어들이 많이 접하지 못했던 부분들에 대해서 같이 공유하고 공부해 나가고 싶은 마음에 용기내어 티스토리를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혹시라도 같이 논의 하고 싶거나 궁금하신 부분은 남겨주시면 성심껏 답하겠습니다. 비록 처음이라 전체적인 구성이나 말이 어색할지 몰라도.... 많은 관심 부탁 드립니다.